안녕하세요. 별별입니다.
금방 10월이 다가 왔습니다.
이번주는 본격적으로 가을의 깊이가 더해가고 있는 절기 한로가 찾아왔습니다.
24절기 한로(寒露)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로(寒露)의 의미 |
24절기 중 17번째 절기에 해당하는 한로는 양력으로 10월 8일~9일에 찾아온다고 합니다.
음력으로는 9월 무렵이겠죠?
한로 무렵이 되면 공기가 선선해지면서 찬 공기가 나뭇잎과 풀잎을 등에 맺혀 찬 이슬이 맺히곤 하는데요.
한로는 '차가운 한(寒)'과 '이슬 로(露)'가 합쳐진 단어로 찬이슬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차가운 이슬이 맺히는 시기가 바로 한로라는 절기인거죠!
한로(寒露)의 풍습 |
한로에는 수유를 머리에 꽂거나 높은 곳에 올라가 고향을 바라보는 풍속이 있다고 하는데요.
수유열매가 붉은 자주빛으로 벽사의 효과가 있어,
사악한 기운을 제거하여 잡귀를 쫓는다고 믿었습니다.
또, 한로의 음식으로는 추어탕이 있습니다.
추어탕은 한로와 상강 무렵에 시민들이 즐겼는데, 이유는?
가을에 누렇게 살찌는 가을 고기라 하여 미꾸라지를 추어라 불렀습니다.
그래서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한로와 상강에 건강을 위해서 추어탕을 즐겼다고 합니다.
몸을 위해서 추어탕 한그릇 사드세요!
한로(寒露)에 관련된 속담은? |
1. 한로가 지나가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제비는 음력 삼짇날(음력 3월 3일)에 중국 양쯔강 남쪽에서 왔다가
한로(양력 10월 8일 무렵)가 지나 선선해지면 중국 양쯔강 남쪽으로 돌아간다고 한다.
봄에 왔던 철새들이 돌아가는 기준 시점이 한로가 된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와 같이 따뜻한 시기에 왔던 철새들이 차가운 시기에 떠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철새가 가면 겨울새인 기러기가 찾아오는데 그래서
이와 비슷한 속담으로 “한로가 지나면 제비는 강남으로 가고, 기러기는 북에서 온다.”,
“제비가 오면 기러기가 가고, 기러기가 오면 제비는 간다.”가 있다.
2. 가을 곡식이 찬 이슬에 영근다.
가을에 이슬이 내리면 곡식이 딴딴하게 잘 여문다는 의미의 속담이다.
음력 9월의 한로(寒露)에 접어들면 찬 이슬이 내리게 되는데,
이슬이 내리면 날씨가 쾌청하여 곡식들이 잘 무르익게 되므로 가을곡식은 찬 이슬에 무르익는다고 한다.